14. 탁월한 문제 해결가들의 습관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법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 두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1. 보드게임을 많이하고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이나<손자병법>같은 책을 반복적으로 읽어라고 한다. 보드게임에는 저마다 복잡한 규칭과 상황들이 존재하기 때문이고 전쟁과 병법에 관한책들을 곁에 두고 반복해서 읽으면 읽을때 마다 관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좋다고 한다.
2. 언어를 공부하라 특히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던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을 공부할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고 한다. 타인에게 어떤 문제에 대해 얘기해야 할 때, 언어를 최대한 긍정적인 수단으로 활용 해야 할 때 비트겐슈타인은 훌륭한 교사가 되어준다고 함
내 정신에게 밤새 할일을 주자
리드는 날마다 자기 정신이 밤사이에 공들여 해결해주기를 원하는 문제들을 노트에 적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우리가 떠올리는 생각의 대부분은 당연히 잠재의식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가 수면을 취하며 긴장을 풀고 원기를 회복하는동안에 다양한 해결책이 잠재의식을 통해 떠오를 수도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자고 한다.
나도 앞으로는 어떤 문제를 직면해서 해결을 못할때에는 메모장에 적어놨다가 자기전에 생각을 하고 잠을 자봐야겟다 정말 해결이 되는지 궁금함 ㅎㅎ
15. 천재와 싸워 이기는법
두 가지 분야에서 상위 25퍼센트에 들 수 있는가?
남다른 삶을 원한다면 선택 가능한 길은 두가지
1. 특정한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
2. 두가지이상의 일에서 매우 뛰어난 능력(상위 25%안)을 발휘하는 것
첫번째 전략은 1등의 몫이다. 1등이 아닌 사람들에겐 불가능이다. NBA에서 활약하거나 앨범을 100만장이상 팔아 플레티넘을 기록하는 사람은 극소수다. 될수 만 있다면 최고의 선택이겟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두번째 전략은 비교적 쉽다. 누구나 일정한 노력을 기울이면 상위 25퍼센트까지는 올라갈 수 있는 분야가 적어도 두개 정도는 있다.
스콧은 이렇게 말했다. 나는 만화가인 탓에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그림을 잘 그린다.
하지만 나는 피카소나 고흐는 아니다. 또 나는 코미디언들보다 웃기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사람들보다는 유머 감각이 뛰어난 편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림도 제법 그리면서 우스갯소리도 곧잘 하는 사람은 드무라는 사실이다. 이 두가지가 조합된 덕분에 내만화 작업은 평범하지 않은 진기한 일이 될 수 있엇다고 한다.
스콧은 기회가 될때 마다 젊은이들에게 괜찮은 대중연설가(상위25%안)가 되라고 조언한다. 연습만 꾸준히 하면 누구나 될 수 있다고 한다.
넷스케이프의 창업자 마크 앤드리슨은 이렇게 말했다고한다. 성공한CEO들 가운데 상위 25퍼센트 안에 속하는 기술을 3가지 이상 갖추지 못한사람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일이라고
나는 지금 뭘 잘하는지 뭘 할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조금 생각을 해보고 관심있거나 자신있어하는 분야를 책으로 찾아서 빨리 깊게 파봐야겟다. 사실 상위 25퍼센트를 어떻게 가늠하는 걸까 좀 궁금하다... ㅜ
열번 실패해라
실패해도 괜찮을 만한 상대를 골라라
이 말은 요약하면 리허설 할 만한 상황을 골라서 연습하고 실전 때 잘해라는 것 같다.
2장 08. 모든길은 스스로 열린다.
모두가 같은 문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로버트는 세상의 보편적인 문법을 따르지 않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모두가 왼쪽 길로 갈때 그는 오른쪽 길을 탐사했다. 거기서 아무도 떠올리지 못한 아이디어를 만날 수 있었다. 그에게 성공이란 '무리를 따라가지않는 것'이었다. 영화판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영화제에 있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영화제가 나쁘다는 뜻은 아닌데 영화제에 모인 사람들이 모두 같은 문으로 들어가려고 한다. 한마디로 경쟁률이 쎈곳에는 발디딜 틈이 없다는 거 같다. 경쟁률이 일어날 수 없을 정도에 생각을 가지고 해라는 거 같다.
02장 12. 4000시간을 생각에 써라
인생을 어떻게 살지에 시간을 써라
윌 맥어스킬(옥스퍼드 대학교 링컨 칼리지 철학교수)은 말했다.
우리가 평생 일하는 시간이 얼마인지 아는가? 8만시간 쯤 된다. 그 시간을 최대한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도 스무살 때는 시간을 흘려보내며 이런저런 생각들 사이만 오가고 있었다고한다. 어떻게하면 성적을 더잘받지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지 하지만 생각해보라고 한다. 내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이고, 그 목표를 향해 나갈수 잇는 최적의 방법은 무엇인지
나는 사실 이 내용을 보고 소름이 돋았다. 나도 대학생때는 성적에 대해 연연해 햇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내인생이 가장 중요한데 대학성적이나 고민햇다니 너무 미련햇다고 생각한다. 지금이라도 내 삶의 목적을 찾아서 나아가는 수 밖에 없다.
02장 14. 내 자리를 만들어라
카운트다운 시계를 갖고잇는가?
케빈은 '인생 카운트다운 시계'를 갖고 있다고 한다. 자신의 신상정보를 입력해 '예측 사망 나이'를 역으로 계산해 앞으로 살날이 얼마나 남앗는지를 컴퓨터 화면에 출력되도록 설정 한것이다 .이 카운트다운 시계만큼
인생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없다고 한다.
맞다 생각해보면 우리의 인생은 정말 짧은거 같다.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100세 이전에 죽는 사람들이 대다수고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근데 도전에 대한 걱정이나 고민을 하는건 정말 시간낭비라고한다 두렵다 하지만 해보는거다. 인생도 1번뿐인데.. ㅎㅎㅎ
지금까지 타이탄의 도구들에 모든 내용은 아니고 내가 인상 깊었던 내용이나 글귀들만 적어서 내 생각을 한번 정리해봤다. 앞으로 이 책뿐만아니라 다른 분야 혹은 다른 책도 읽으면서 빨리빨리 내 삶에 적용해 나도 한번 대단한 사업이나 대단한 성공을 해보고 싶다.. ㅎㅎ 이책 혹은 미래를 걱정 하는분들 다들 같이 힘내보자구용
'독서 > 타이탄의 도구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 해커 자청님이 추천해주신 타이탄의 도구들 2일차 (0) | 2020.03.26 |
---|---|
라이프 해커 자청님이 추천해주신 타이탄의 도구들 1일차 (2) | 2020.03.24 |
댓글